종교와 경전의 관계 <격암유록>이 16세기 남사고의 작품이라고 하기엔 지나치게 현대어의 사용이 많고, 특히 성경구절과 요한묵시록의 용어들이 대거 등장하여 허춘회 씨의 고백이 있기 전부터 이 책은 위서라는 의심을 받아왔다. 그리고 위서가 정직하지 못한 책이며, 정직하지 못한 책에 진리가 있다.. 종교와 인간 2018.04.01
요한묵시록의 장르적 특징 요한 묵시록은 묵시문학에 속하면서 예언서와 지혜서, 그리고 서간문의 양식을 차용한다. 민족주의적 성격과 회개를 촉구하는 조건부 약속에 의한 종말론은 구약 예언서의 특징으로 신약의 요한 묵시록과 차이를 보이는 요소이다. 또한 교회공동체의 구원과 예수님의 재림에 의한 종말.. 종교와 인간 2017.12.28